시뮬레이션(simulation) 모드 설정
실제 용접작업을 실시하기 전 용접경로가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는 지 확인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모드를 활용하면 좋다. 시뮬레이션모드를 활성화하면 용접기로 용접프로세스에 해당하는 지령 (용접시작, 종료 등)을 내보내지 않으며 따라서 용접모션만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으로는, 용접기가 자체적으로 시뮬레이션모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통신방식 디지털용접기의 경우 시뮬레이션모드 시그널을 인터페이스 설정에 등록하고 이를 용접조건에서 활성화하면 용접기의 시뮬레이션모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TB/TW에서 실용접모드(welding mode)로 설정하여도 용접기 자체적으로 출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모의로 용접프로세스 관련 시그널 및 발생전류/전압값을 로봇으로 출력하므로 용접팝업을 통해 모의모니터링값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에 TB/TW 시뮬레이션모드와 인터페이스설정을 통해 입력하는 용접기 시뮬레이션모드 옵션 활성화 여부에 따른 기능의 차이를 비교합니다.
| TB/TW 용접 모드 | TB/TW 시뮬레이션 모드 |
---|---|---|
용접기 시뮬레이션 모드 사용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 [모의용접-모의시퀀스] - 용접 진행 시 제어기와 용접기간 통신 시퀀스 진행 - 용접아크 미발생 | [모의용접-시퀀스없음] - 용접 진행 시 제어기와 용접기간 통신 시퀀스 미 진행 - 용접아크 미발생 |
용접기 시뮬레이션 모드 미 사용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 확인) | [실용접-정상시퀀스] - 용접 진행 시 제어기와 용접기간 통신 시퀀스 진행 - 용접아크 발생 | [모의용접-시퀀스없음] - 용접 진행 시 제어기와 용접기간 통신 시퀀스 미 진행 - 용접아크 미발생 |
-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시뮬레이션 모드 설정 시 용접 조건으로 용접기를 시뮬레이션 모드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는 용접기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용접 진행 중 제어기와 용접기간 통신 시퀀스 및 가상 용접 데이터 값을 실 용접 없이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 통신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시뮬레이션 모드 설정을 하지 않아도 TB/TW 에서 시뮬레이션 모드로 사용 시 실 용접 없이 용접 모션 확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