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kip table of contents

특이점(Singularity)이란?

다관절 로봇에서 특이점(Singularity)란 간단하게 설명하면 로봇이 이동 중 자신의 다음 자세를 계산하기 어려워하는 위치(또는 점)입니다. 다관절 로봇의 경우 로봇의 끝단을 기준으로 이동하는 동안의 각 관절의 각도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면 아래 그림 1의 상태에서 로봇이 빨간 점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로봇은 그림 2처럼 다음 자세를 A 자세가 되도록 각 관절을 움직여야 하는 건지 B 자세로 움직여야 하는 건지 판단을 할 수가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 위치(또는 점)를 특이점이라고 합니다.


특이점 근처에서는 로봇의 움직임이 평면, 점, 직선에 해당하여 움직임이 원활하지 않고 로봇 끝단의 직선 이동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어 시 위치 오차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로봇 관절이 일직선인 경우를 포함하여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3가지 경우에 특이점이 발생합니다.

  1. 손목 특이점(Wrist Singularity) : 5번 축이 0º에 근접하여 로봇의 손목 부분이 일직선이 되는 경우

    • 4, 5, 6번 축은 다관절 로봇을 사람의 팔에 비유했을 때 손목 관절에 해당됩니다. 
  2. 어깨 특이점(Shoulder Singularity) : 1번 축과 6번 축이 동일 선상에 있는 경우
    • 1, 2번 축은 다관절 로봇을 사람의 팔에 비유했을 때 어깨 관절에 해당됩니다.
  3. 팔꿈치 특이점(Elbow Singularity) : 3번 축이 0º에 근접하여 로봇이 일직선이 되는 경우
    • 3번 축은 다관절 로봇을 사람의 팔에 비유했을 때 팔꿈치에 해당됩니다.


주의

  • 관절 회전으로 이동하는 수동 및 자동 조작의 경우 특이점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태스크 이동, MoveL 명령어 등
  • 특이점은 로봇의 끝단을 선형으로 이동하는 수동 및 자동 조작 작업 시에만 발생합니다.
    • 조인트 이동, MoveJ 명령어 등
  • 특이점 영역에서는 힘 제어나 순응 제어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 선형 모션의 경로가 이 특이점을 경유할 때 특정 축의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기 때문에 조인트 속력 제한 위반(Joint Speed Limit Violation) 또는  조인트 각도 제한 위반(Joint Angle Limit Violation)으로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이점 회피 방법

두산 로봇은 모션 제어시에 특이점을 회피하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특이점 영역에서는 MoveJ 계열의 조인트 이동 명령어를 사용하여 예외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작업을 구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JavaScript errors detected

Please note, these errors can depend on your browser setup.

If this problem persists, please contact our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