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Skip table of contents

Task Editor 모듈

image-20250725-060245.png

메뉴 구성

항목

설명

1

명령어 편집 도구(CTR)

  • 복사: 명령어를 복사합니다.

  • 잘라내기: 명령어를 잘라냅니다.

  • 붙여넣기: 복사 또는 잘라낸 명령어를 붙입니다.

  • 삭제: 명령어를 삭제 합니다.

  • 줄 올림: 명령어 줄을 한 칸 올립니다.

  • 줄 내림: 명령어 줄을 한 칸 내립니다.

  • 주석: 명령어를 주석 처리하여 태스크 실행시 해당 명령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2

Task List

태스크 순서와 명령어 탭에서 추가한 명령어 목록을 표시합니다. 태스크를 생성하면 Global Variables, Main Sub, End Main Sub 명령은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리스트에 포함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중 선택: 명령어를 여러 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Task 이름: 직접 이름 수정이 가능합니다.

  • 저장하기: 만든 Task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 더보기: 태스크와 관련한 더 많은 기능의 수행이 가능합니다.
    * 더보기 버튼의 상세 항목은 하단 설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실행 취소: 바로 이전에 실행한 기능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 다시 실행: 취소한 기능을 다시 실행할 수 있습니다.

3

Command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할 명령어 목록을 표시합니다. 명령어를 선택하면 해당 항목이 Task List에 추가됩니다.

4

Property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된 명령어의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5

Monitoring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된 명령어들을 시뮬레이션하고 상세 설정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항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뉴 구성

항목

설명

1

정보

태스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2

새 파일

새로운 파일을 생성합니다.

3

열기

이미 있는 태스크를 열 수 있습니다.

4

불러오기

외부에 저장된 태스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5

저장

현재 태스크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6

다른 이름으로 저장

현재 태스크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7

내보내기

현재 태스크를 내보낼 수 있습니다.

8

닫기

태스크를 닫을 수 있습니다.

9

삭제

태스크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10

시스템 변수

시스템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봇의 위치, 속도, 상태 등의 설정값을 시스템 변수로 선언해 사용할 수 있으며, System_변수명 형식으로 접근합니다. 시스템 변수는 파일 간 공유가 가능하고, 프로그램에 의해 값이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Global 또는 Define Variable과는 다릅니다.

드래그를 통하여 변수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테이블의 제목(이름, Date)을 클릭해 정렬을 할 수 있습니다.

11

정보_파일 이름

파일의 이름이 나타납니다.

12

정보_최근 수정됨

최근 수정한 날짜가 입력됩니다.

13

정보_마지막으로 재생된 파라미터

마지막으로 실행된 파라라미터가 표시됩니다.

알아두기

  • Global Variables: Global Variables속성 탭에서 태스크 프로그램의 전역 변수 및 전역 포즈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전 설정된 전역 변수와 전역 포즈는 태스크 리스트에 추가된 명령어의 속성 화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Main Sub, End Main Sub: 사용자가 선택한 명령어는 Main Sub의 하단에 추가되며, Main Sub의 하단에 위치한 명령어부터 End Main Sub 상단에 위치한 명령어까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실행됩니다.

  • 변수 탭에 변수를 등록하여 모니터링 할 경우, 값의 변화 주기가 너무 빠를 경우 화면에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변수는 소프트웨어 버전 V2.8부터 개수의 제한 없이 등록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시스템 변수의 개수가 너무 많아지는 경우, 태스크 실행시 로딩 시간이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반복문 내에 TP_LOG 혹은 SET 명령어를 과도하게 사용할 경우 CPU의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JavaScript errors detected

Please note, these errors can depend on your browser setup.

If this problem persists, please contact our support.